상세보기

이전
상품명
북한 여성, 변화를 이끌다
이화여대 북한연구회 편/강혜석,곽연실,김미주,김엘렌,김정수,송현진,전정희,조영주 공? 선인
분야
아카데미 > 사회계열
김정은 정권 초인 2012년 7월, 릉라유원지 방문 시 부인 이설주와 동반한 모습은 선대 수령들의 행태와 다른 모습이었다. 초록색과 검정색의 달린옷(원피스)을 입고, 남편의 팔짱을 낀 채로 활짝 웃는 젊은 퍼스트 레이디(First Lady) 등장은 북한 사회 변화에 있어서 여성 역할의 변화를 단적으로 나타냈다. 어버이 수령의 위상과 다른 젊은 지도자 이미지를 안정감 있게 부각시킬 필요와 정상적인 국가 원수로서의 위상을 구축하려는 의도로 해석될 수 있었다. 또한 1990년대 고난의 행군 시절 가부장제 질서의 경제적 토대가 붕괴한 이후 여성의 역할이 크게 변화한 현실을 반영했다고도 볼 수 있다. 여성의 역할 변화가 북한 사회 변화를 가속한다면, 그 원인과 영향을 분석하고 규명하는 연구는 북한 사회 변화를 새로운 각도에서 조망하게 해준다.

이번 총서는 여는 글에 이어 총 3부로 구성되었다. 여는 글에서는 북한 사회의 변화로 인한 여성의 역할 변화, 여성의 역할 변화로 인한 북한 사회 변화의 가속화. 이 맞물린 관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살펴 북한 여성 연구를 통해 북한 사회를 해석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했다. 1부에서는 북한의 정치체제가 여성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1장 북한 민족주의 부상 과정에서 여성이 민족재생산자로서 담당했던 역할과 기능을 검토했고, 2장 문화예술을 통한 북한 당국의 젠더 정치 등 북한의 체제 유지와 여성이 동원되는 방식을 다루었다. 2부에서는 1장 주민들의 충성심을 확보하기 위한 통치 방편으로 활용한 영웅정치 중 여성 영웅에 대한 담론을 분석하고, 2장 김여정이 발표한 담화문을 토대로 동기이미지 분석을 통해 리더십 효과성에 관한 연구를 했다. 3부에서는 북한 여성의 의식 변화에 주목하면서 1장 가족 해체 및 그로 인한 북한 여성과 아동의 문제를 분석하고, 2장 의료 보건 분야에 나타나는 여성의 지위 변화, 3장 섹슈얼리티를 통해서 본 여성의 주체적 삶의 변모 양상을 살펴보았다. (머리말 中)
맨위로